본문 바로가기

AWS14

레디스를 5가지 방법으로 설치/구축하기 : AWS ElastiCache 잘못된 내용이나 의견 있다면 편하게 말씀해주세요.🙏🏻 개발/테스트 목적의 단일 노드 Redis(Remote Dictionary Server)를 구축하는 5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1. 로컬, 2. docker-compose, 3. Embedded Redis, 4. Testcontainers, 5. AWS ElastiCache, Terraform) 운영 목적의 아키텍처(Replication, Sentinel, Cluster)는 아닙니다. 글 목록 [Redis] 레디스를 5가지 방법으로 설치/구축하기 : 로컬, docker-compose [Redis] 레디스를 5가지 방법으로 설치/구축하기 : Embedded Redis, Testcontainers 현재글 : [Redis] 레디스를 5가지 방법으로 설치/구.. 2022. 12. 9.
서브 도메인과 AWS 서비스 연결하기 3. 로드 밸런서에 SubDomain 연결하여 HTTPS 통신하기 잘못된 내용이나 의견 있다면 편하게 말씀해주세요.🙏🏻 시리즈 1. 이전 글 : AWS Route 53에서 Domain name(root) 구입하기 2. 이전 글 : CloudFront에 SubDomain 연결하여 HTTPS 통신하기 3. 현재 글 : 로드 밸런서에 SubDomain 연결하여 HTTPS 통신하기 이전 글에서 파란색, CloudFront에 서브 도메인을 연결하여 HTTPS 통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록색, ALB에 SubDomain 연결하여 HTTPS 통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로드 밸런서는 AWS ALB를 사용합니다. (본문에서 나온 용어(RootDomain, SubDomain)들은 이전 글을 참고해주세요.) (+a ALB란 Application Lo.. 2022. 9. 13.
서브 도메인과 AWS 서비스 연결하기 1. Route 53에서 도메인 네임 구입 방법 잘못된 내용이나 의견 있다면 편하게 말씀해주세요.🙏🏻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며 프론트 엔드 웹 서비스와 백엔드 서버에 각각 Domain name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루트 도메인(jikmuk.com)을 활용하여 서브 도메인 2개를 만들어 CloudFront(sikdorak.jjikmuk.com)와 백엔드 서버(api.jjikmuk.com)에 각각 연결하여 HTTPS 통신하려고 합니다. 위 과정을 3가지로 나누어 글을 작성하려 합니다. 1. 현재 글 : AWS Route 53에서 Domain name(root) 구입하기 2. 다음 글 : CloudFront에 SubDomain 연결하여 HTTPS 통신하기 3. 다음 글 : 로드 밸런서에 SubDomain 연결하여 HTTPS 통신하기 이번 글은 세 가지 글 .. 2022. 9. 13.
S3에 이미지 업로드 기능 아키텍처 비교 (서버에 직접 전송, presigned URL 활용) 잘못된 내용이나 의견 있다면 편하게 말씀해주세요.🙏🏻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며 유저 프로필이나 음식점 리뷰 사진 등 이미지 업로드 기능이 필요했습니다. 처음엔 이미지를 업로드 기능을 단순하다고 느꼈지만 생각보다 고려할 것이 많았습니다.😵‍💫 떠올랐던 Check List - 이미지 업로드/삭제 , 원본 파일 크기 제한(저장 공간 제약, 비정상적인 요청 방지) - UI 마다 이미지 사이즈를 다르게 저장(리사이징) - 빠른 응답을 위한 CDN 사용 - 파일 접근 권한 (비공개 이미지에 익명의 사용자가 접근하는 문제) 이번 글에서는 이미지 업로드 기능을 구현하는 간단한 세 가지 방법(아키텍처)을 소개/비교하고자 합니다. 이미지 업로드 유저가 자신의 프로필 사진을 수정한다고 가정합니다. 이미지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2022. 9. 4.
VPC Peering(피어링) 이전 글 2022.03.31 - [👾 Server/☁️AWS] - AWS - VPC(Virtual Private Cloud)이란? : AWS에서 독립된 가상 네트워크 만들기 2022.07.11 - [👾 Server/☁️AWS] - VPC Endpoint(엔드포인트) 을 통해서 VPC와 VPC 엔드포인트에 대해 알아보았다. 정리하자면 VPC란 독립된 가상의 클라우트 네트워크로, AWS 사용자가 VPC 서비스를 활용해 리전 단위로 네트워크 환경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VPC 리소스에서 Subnet(서브넷)을 나누어 AZ(Availability Zone, 가용영역) 단위로 네트워크 망을 분리할 수 있다. VPC Endpoint(엔드포인트)란 사용자가 생성한 VPC에서 다른 AWS 퍼블릭 서비스와 통신하거나 다.. 2022. 8. 1.